육군 i-Army2030

AI협업 커뮤니티

  • 글쓰기
  • IE는 Edge 이상 버전에서 글쓰기가 가능합니다. ( IE8 ~ IE11 글쓰기 불가 )
“ 民ㆍ官ㆍ軍ㆍ産ㆍ學ㆍ硏의 협업 촉진을 위한 소통의 場 ”
본 게시판은 욕설, 비방, 음란물 게재 및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게시물을 게재 시
「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 2항(정보의 삭제요청 등)」과 홈페이지 운영내규에 의거하여 경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.
IE는 Edge 이상 버전에서 글쓰기가 가능합니다. ( IE8 ~ IE11 글쓰기 불가 )
총 게시글 7
  • 202021. 08
    No. 10 View. 1,154댓글(0)

    「陸軍 데이터랩」 구축 및 운영 홍보

    ○「陸軍 데이터랩」은 産·學·硏에서 군사분야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육군의 AI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군사보안이 강구된 군사분야 데이터 세트 제공 및 연구공간이다. KAIST 문지캠퍼스에 설치하여 2021년 4월 부터 운영중이다. ○ 랩 구성은 데이터 보관 및 관리용 서버와 연구자용 고성능 커퓨터를 설치하였고, 외부 네트워크 차단 등 보안대책
  • 062021. 04
    No. 9 View. 550댓글(0)

    「육군 데이터 랩」 개소

    육군 교육사령부는 '21년 4월 5일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육군 데이터 랩을 개소식을 개최하였습니다. 육군 데이터랩은 산·학·연 등 민간에서 육군 AI연구개발을 촉진 및 확산하고 관련 협업 성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. 관련기사: 인공지능신문(링크) 등 다수 매체
  • 262020. 10
    No. 8 View. 360댓글(0)

    (홍보) 육군, 대전시 인공지능(AI)으로 뭉쳤다.

    '20년 10월 23일 육군 교육사에서「인공지능(AI) 교류협력」회의를 개최하였다. 육군 교육사는 '산· 학· 연· 관 교류사업 추진사항'을 소개하고, 대전시는 '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도시, 대전 구축 방안'을 발표하였다. 원문(출처 : 매일일보) 링크 -> '대전시.육군 인공지능(AI)으로 뭉쳤다'
  • 032020. 07
    No. 7 View. 93댓글(0)

    (홍보) 육군교육사령부-경희대학교 업무협약체결식

    '20. 7. 1.(수), 14:00에 교육사령부(전투발전부)와 경희대학교(SW융합대학) 간 인공지능(AI) 분야의 상호 교류 협력을 통해 육군 AI능력발전 기반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. 지난 '20. 3월, 4월에 전투발전부장 등이 경희대에 방문하여 의료 AI 플랫폼 소개 및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양 기관과 연구협력을 상호 협의하였다.
  • 022020. 04
    No. 6 View. 167댓글(0)

    (홍보)판교 내 육군 AI협력사무소 운용

    산ㆍ학ㆍ연 과의 AI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첨단 AI 기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육군에 접목하고자 판교 내 육군 AI협력사무소를 운용하고 있습니다. ○ 운영장소 :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1동 8층(육군 AI 협력센터) ○ 교류협력 분야 산ㆍ학ㆍ연ㆍ관 AI 기술 공유, 연구과제 협력 AI 컨퍼런스, 세미나, 포럼 등 다양한 행사 개최 육군 AI 추
  • 022020. 04
    No. 5 View. 104댓글(0)

    (홍보)판교 내 육군 AI협력사무소 운용

    산ㆍ학ㆍ연 과의 AI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첨단 AI 기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육군에 접목하고자 판교 내 육군 AI협력사무소를 운용하고 있습니다. ○ 운영장소 :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1동 8층(육군 AI 협력센터) ○ 교류협력 분야 산ㆍ학ㆍ연ㆍ관 AI 기술 공유, 연구과제 협력 AI 컨퍼런스, 세미나, 포럼 등 다양한 행사 개최 육군 AI 추
  • 312020. 03
    No. 4 View. 58댓글(0)

    20년 경기도 인공지능 실증사업 수요조사 안내문

    경기도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실증체계를 구축하여 인공지능분야 생태계 구축과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자 '2020년 경기도 인공지능 실증사업' 을 추진합니다.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보안/공공/국방 분야 서비스 및 데이터 기반의 생활편의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기도, 도내 31개 시군 및 공공기관과
Back to Top